본문 바로가기
홍나&떼굴이의 걷기운동

서울숲을 걷다!

by 홍나와 떼굴이 2020. 6. 15.
반응형

서울시가 뚝섬 숲 조성 기본계획에 따라

기존의 뚝섬체육공원 일대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대규모 도시숲으로 만들기 위해

2004년 4월 6일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전체 면적은 35만평이며, 1년 동안의 공사기간을 거쳐

2005년 6월에 문을 열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공원이 부족한

서울 동북부 지역의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숲의 형태는 친환경적 요소를 강조해

공원 전체에 걸쳐 지름 30~40㎝에 높이 20m의

나무 104종 42만 그루를 옮겨 심는다.

대표적인 나무 종은 참나무, 서어나무, 산벚나무 등이며

한국 고유종이 대부분 차지한다. 서울숲은

 

PARK1~4까지

네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K1은 문화예술공원으로,

대형 잔디마당·야외무대·호수·체육공원·

인공연못·바닥분수 등 시민들이 다양한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PARK2는 생태숲으로, 야생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자연 그대로의 숲을 보존한 곳이다.

특히 생태숲에는 사슴우리가 있어

귀여운 꽃사슴들을 관람하며 먹이를 줄 수도 있다.

생태숲 위를 가로지르는 472m의

보행가교는 한강과 연결된다.

 

PARK3은 기존의 정수장 시설을 재활용해 조성한

갤러리정원·나비정원, 곤충식물원 등의

시설이 위치한 체험학습원이다.

서울숲 공영주차장쪽 출입구와 접해 있으며

아름다운 정원과 다양한 체험학습관을 거쳐 길게

펼쳐진 벚나무길을 따라 걸으면 생태숲에 다다른다.

PARK4는 습지생태원으로, 조류관찰대·환경놀이터·

습지초화원·유아숲체험장 등 친환경적인 체험학습공간이다.

 

뮤지컬 <알사탕>보러 갔다가 시간이 남아

잠시 서울숲을 걸어보았다 소개해본다.

-24시간 365일 개장(일부 시설물 제외)

 

-무료입장

 

-자전거대여소 없음

 

-운영시간 서울숲바닥분수: 바닥분수

가동시간 5~9월 가동(수요일 정기점검)

-5~6월, 9월: 2,3,4시, 30분씩

3회 -7~8월: 12,1,2,3,4시, 30분씩 5회

▶서울숲방문자센터 :1층: 방문자센터(안내소),

 

▶서울숲이야기관(도서관,수유실)

운영시간: 10:00-18:00(연중 무휴),

동절기 10:00~17:00(12~2월)

 

▶휠체어 및 유모차 대여:

최대 2시간 무료대여(※신분증 필요

▶ 서울숲꽃사슴우리 :

생태숲(사슴우리, 보행가교)

개방시간: 07:00-20:00

※하절기(6~8월) 07:00-21:00

사슴먹이자판기에서 사슴먹이 구매 가능.

 

▶서울숲보행가교 :

개방시간: 07:00-20:00 (생태보전구역)

※하절기(6~8월) 07:00-21:00 안전을 위해 자전거,

스케이트 등의 탈거리 금지

▶서울숲테니스장 : 하절기 06:00~19:00,

동절기 08:00~17:00

※기상조건이나 시설의 관리 및 운영을 위해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에서 예약 후 유료이용

(평일: 2시간 8,000원. 추가 1시간당 2,000원.

주말/공휴일: 2시간 10,400원. 추가 1시간당 3,100원.)

▶서울숲다목적구장 :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 후 무료이용

 

다목적구장(인조잔디,골대없음)은

1시간 단위로 최대 2시간 이용가능.

※주말은 예약 후 추첨으로 통해 이용자 선정.

 

▶곤충식물원 : 10:00~17:00 (월요일 휴관)

 

▶나비정원 : 10:00~17:00 (5~10월 운영, 월요일 휴관)

 

▶서울숲공영주차장 : 5분당 요금 일반 150원

대형 300원 (주차장 02-461-2916

 

 

 

 

 

 

 

 

▶전화번호: 02-460-2905

▶주소: 서울 성동구 뚝섬로 273

 

▶지번: 성수동1가 685-1

▶영업시간: 매일 00:00 - 24:00연중무휴.

 

▶입장료: 무료

▶홈페이지: http://seoulforest.or.kr/

▶편의시설: 주차, 무선 인터넷, 반려동물 동반,

유아시설(놀이방), 남/녀 화장실 구분, 장애인 편의시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