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나&떼굴이의 걷기운동

문경새재 숲길 트레킹 – 고즈넉한 제1, 2, 3 관문을 거닐며 발견하는 한국의 자연 유산과 역사!

by 홍나와 떼굴이 2023. 11. 7.
반응형

문경새재는 조선 시대에 영남지방에서 한양으로 오가던 사람들의 주요 통행로였던 영남대로에 있는 고개이다. 문경새재는 예로부터 백두대간 북쪽의 한강과 백두대간 남쪽의 낙동강을 연결하는 영남대로에서 가장 높고 험준한 고개로 알려져 있으며 영남지방의 선비들이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넘나들던 길이었다. 지금 우리가 걸을 수 있는 고갯길은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할 정도로 폭이 넓지만, 조선 시대에 선비들이 과거를 보러 가면서구불구불한 산길을 넘었던 과거 길도 일부 남아 있다. 새재에 설치된 3개의 관문을 비롯해 고갯길 주변에는 옛날의 모습이 잘 간직되고 있다.

 

문경(聞慶)의 옛 이름은 문희(聞喜)였는데, 이들 지명의 뜻은 ‘경사스러운 소식을 처음으로 듣는다.’ 또는 ‘기쁜 소식을 처음으로 듣는다.’이다. 이 때문에 문경새재는 과거 급제를 바라는 많은 선비가 좋아했던 고갯길이었으며, 멀리 호남지방에서 과거시험을 보러 가던 선비들까지 먼 길을 돌아 문경새재를 넘어갔다고 전해진다.

 

조선 정부는 임진왜란 이후 문경새재에  세 개의 관문을 설치하여 국방의 요새로 삼았다. 그 관문은 문경 쪽에서 고개 정상부로 향하면서 주흘관(제1 관문), 조곡관(제2 관문), 조령관(제3 관문)의 순서로 자리한다. 문경새재 입구에서부터 조곡관까지는 대체로 평탄한 구간을 따라 이동하지만, 조곡관에서 조령관까지의 길은 다소 가파른 편이다.

 

 

문경여행에서 첫 째날은문경새재 과거길 1, 2, 3 관문을 걸었고 둘째 날은 이미 올린 문경단산모노레일도 타보는 체험을 하고 돌아왔다. 문경새재길도 함께 걸어보자.

문경새재

제1 관문 주흘관

 

제1관문(주흘관)

 

 

1. 문경새재 제1 관문 주흘관경북 문경시 문경읍에 자리 잡고 있다. 문경새재가 시작하는 곳에 있는 이곳은 영남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다.

 

2. 왜군을 막기 위해 숙종 34년(1708)에 축조했으며,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다. 문경새재도립공원 입구에서 주흘관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동차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동차를 이용할 경우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에서 하차한다. 연풍 IC와 문경새재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조령산 자연휴양림이 있다.

 

 

3. 문경새재. 그 옛날 새들도 쉬어간다는 높고 험준한 고개는 지금 가장 아름다운 옛길로 각광받고 있다. 한 해 100만 명 이상이 다녀갈 정도이니 인기를 넘어 주말이면 울긋불긋 인파 물결로 몸살을 앓는다.

선비들이 걷던 길

 

4. 널찍한 길을 500m 정도 걸으면 '영남 제1관'이라는 주흘관()턱 하니 나타난다. 문경새재 세 개의 관문 중에서 제일 웅장하기도 하거니와 옛 모습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다. '문경새재 과거길'이라고 쓰인 바위 앞에는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된 동판이 있다.

 

5. 개울을 벗 삼아 정갈한 흙길을 걷는다. 마사토의 까칠함이 발바닥으로 전해진다. 느릿느릿한 걸음걸이, 편안하면서 결코 빠르거나 성급하지 않다. 머릿속 근심마저 빠져나가는 느낌이다. 걷다 보니 길 옆에 놓인 벤치나 정자에 쉬는 사람도 많다. 그들에게서 서두름은 먼 나라 이야기 같다.

 

 

사극촬영의 명소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6. 주흘관을 벗어난 지 10분이 채 되지 않아 KBS촬영장이 보인다. 2만여 평의 부지에 [태조왕건], [대왕세종], [천추태후]의 세트장을 조성했다. 광화문, 근정문, 시접 전, 교태전 등 조선조 건물 126동을 건립했으니,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촬영장이라 할 만하다.

 

7,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2016년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외 9개 작품, 영화 '대립군'외 3개 작품을 2017년 드라마 '역적:백성을 훔친 도적', '명불허전'외 2개 작품, 영화 '남한산성'외 8개 작품 등 대한민국 사극의 대부분을 촬영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대표적인 사극촬영장으로 2000년 2월 23일 준공된 KBS사극촬영장을 문경시의 제작지원으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리모델링을 거쳐 2008년 4월 16일 70,000㎡ 부지에 광화문, 교태전, 동궁, 서운관, 궐내각사, 양반집 등 103동을 추가 건립하여 기존 초가집 22동과 기와집 5동을 합하여 세트 건물들로 구성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오픈세트장 매표소!!

 

8. 또한 2017년 2월 18일 개장한 문경새재오픈세트장 홍보관은 국내 최초의 야외사극촬영장인 문경새재오픈세트장에서 촬영된 모든 드라마와 영상물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촬영장 내 강녕전에 설치되어 운영 중이며 지금까지 문경새재오픈세트장에서 촬영된 드라마와 영화를 디지털 앨범으로 볼 수 있는 영상시설과 촬영전경을 볼 수 있는 사진, 주요 촬영에 사용되었던 소품 등을 중심으로 꾸며졌으며 방문객을 위한 디지털 방명록과 드라마 주인공을 배경으로 한 사진 찍기 체험도 할 수 있다.

 

이처럼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사극촬영지

문경새재오픈세트장도

꼭 한 번 방문해 보자

문경새재

제2 관문 조곡관

영남지방과 중앙을 이어주던 관문

왜적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축성된 문경새재 제2관문(조곡관)과 아름드리 금강송이 동양화 같은 풍경을 그리고 있다.

 

9. 적이 쉽사리 넘볼 수 없는 곳에 자리 잡은 조곡관은 새재의 3 관문 중 맨 처음 세워졌다. 이 관문이 영남에서 서울로 통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였던 문경 조령의 중간에 위치한 근거는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에 충주사람 신충원이 이곳에 성을 쌓은 것이 시초가 되었다. 숙종 34년(1708) 조령산성을 쌓을 때 매바위 북쪽에 있던 신충원이 쌓은 옛 성을 고쳐 쌓고, 중성을 삼아 관문을 조동문이라 이름하였다. 현재의 시설은 그 후 폐허가 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10. 주흘관을 지나 '제2관'인 조곡관()까지는 3㎞. 고갯길이라지만 경사가 낮아 쉬엄쉬엄 걷기 좋다. 이전 일직선이던 길은 굽이굽이 똬리를 튼다. 굽이진 길에는 잣나무, 박달나무, 층층나무, 굴참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 다양한 수종들이 울창하게 뻗어 있다. 나무 밑동 사이로 생강나무와 복수초, 갯버들이 우거졌다.

 

 

 

 

 

11. 계속 산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왼쪽으로는 계곡의 청명한 물소리가 노래하듯 따라온다. 이윽고 양쪽 계곡이 갑자기 좁아지며 조곡관이 모습을 드러낸다.

 

가사

 

후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간다

홍두깨 방망이는 팔자 좋아
큰 아기 손 끝에 놀아놓는다

문경새재 넘어 강제
구비야 구비야 눈물이 난다

문경은 새재야 참싸리 낭구
꼬깜아 꼬지로 다 나가네

문경은 새재야 뿌억 싸리는
북어야 꼬지로 다 나가네

고대광실 높은 집도 나는야 싫어
울퉁불퉁 멍석자리 얕은 정 주세

 

 

문경새재

제3 관문 조령관

새재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조령관

 

경북과 충북의 경계에 위치한 문경새재 제3관문(조령관)

 

12. 백두대간의 조령산 고개를 넘는 새재는 예로부터 영남지방과 서울을 연결하는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이다.

새재라는 지명은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 새로 된 고개, 억새풀이 우거진 고개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새재는 산새가 높고 험준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문경새재에는 1 관문인 주흘관, 2 관문인 조곡관, 3 관문인 조령관 총 3개의 관문이 있다. 그중 3 관문은 새재 정상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에서 침입하는 적을 막기 위해 선조 때 공사를 시작하여 숙종 때 중창한 3 관문은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불리면서 중요한 교통로의 역할을 하였다. 문루는 1907년 훼손되어 불에 탔고, 홍예문과 누각, 좌우의 석성 135m는 1976년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13. 조곡관을 지나면 인적이 뜸해진다. 제3관문인 조령관()으로 이어지는 길은 고즈넉하다. 숲은 깊어지고 숲 냄새가 가슴속 깊이 밀려든다.

 

14. 문경새재는 조선 태종 때 이후로 약 500여 년 동안  한양과 영남을 잇는 가장 번듯한 길이었다. 당시 한양에서 동래까지 가는 고개는 모두 3개 추풍령과 문경새재, 죽령이 있었으나 문경새재가 열나흘 길로 가장 빨랐다. 반면 추풍령은 보름길, 죽령은 열여섯 길. 하루 이틀 사이였건만 문경새재는 과거시험 치는 선비들이 유독 고집했다. 당시 선비들 사이에 추풍령은 낙엽처럼 떨어지고 죽령은 대나무처럼 미끄러진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어 문경새재를 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15. 주흘관에서 조곡관을 거쳐 조령관까지 이어지는 6,5km 길이의 새재 고갯길은 시가 흐르는 옛길이다. 길섶에는 서거정, 김종직, 김시습, 이언적, 주세붕, 이황, 이이, 김성일, 류성룡, 이수광, 김만중, 정약용, 김정희 등 시대를 풍미했던 묵객들의 시가 목석에 새겨져 있다. 시대도 다르고 걸어온 길도 다르지만 목민관이 되어 새재 한굽이에서시 한 수를 남겼을 것이라는 실없는 상상에 발걸음이 가벼워진다.

 

 

16. 이 고갯길이 아직 비포장으로 남아있게 된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덕이라 한다. 1970년대 중반 문경을 순시하다 무너진 성벽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는 것을 보고 차량통행금지를 명령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까지 문경새재가 흙길로서 정취를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와 자연이 조화이룬 대로 '문경새재 옛길'은 국내의 여타 걷기 코스와는 다르다. 옛길에는 모름지기 오랜 시간의 저편에서 그 길을 밟았던  사람들을 떠올린다. 문경새재는 청운의 뜻을 품고 과거길에 나선 선비들의 간절한 소원이 깃들여 있다.

 

문경새재의 속삭이는 풍경 속에서 발걸음마다 역사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이 청운의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단순한 여행을 넘어서 영혼까지 달래주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마음의 소원을 담아 걷는 이 길이 여러분에게도 간직하고 싶은 추억으로 남을 수 있길 바라며, 문경새재에서의 다음 걷기 여행을 기약합니다.

 

 

■홍나와 떼굴이의 맛집기행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HyHrN3HlYwQ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