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나의 공연,전시,축제

2023 정선 동강할미꽃 축제, 세계유일 신비의 꽃!

by 홍나와 떼굴이 2023. 4. 3.
반응형

정선과 평창의

기암절벽을 돌고 돌아

굽이쳐 흐르는 이 강은

눈이 시리도록

깨끗한 물줄기와

한 순간도

쉬지 않고 펼쳐지는

주변 절경으로 인해

사철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다.

그러나 동강이 가장 

설레는 때는 봄이다.

석회암 바위틈에서

한국특산식물인

동강할미꽃이

피어나기 때문이다.

한국 특산종이자

 세계 유일종인 동강할미꽃은

 이른 봄 흰색, 보라색, 

자색, 남색 등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생명력 강하고 순수한 자태로

 순박함과 편안함을 선사하는 등

 봄 여행을 즐기려는

 탐방객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꽃이다.

3월 중순부터 

4월이 다 가기까지

피고 지는

이 꽃을 만나러

제17회 정선 동강

할미꽃축제

다녀왔다.

지금 떠나보자.

 

강원도의 봄은

동강할미꽃에서 시작

 

첫 천둥이 치고 그 소리에

놀란 벌레들이 긴 겨울잠에서

깨어 밖으로 나온다는

경칩(驚蟄-3월 5일 또는 6일)

지나면 곧 동강할미꽃이 피어난다.

양지바른 무덤가에서 

주로 자라는 할미꽃과 달리

동강할미꽃은 동강변 석회암

절벽의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 산다.

또 대게 꽃대를 구부리지 않고

꼿꼿하게 편 게 특징이다.

처음 싹이 돋아 첫 꽃이 필 때는

한 송이, 이듬해에 두 송이가 피며

해가 거듭될수록 꽃송이가

늘어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어른 손의 한 뼘쯤 되는

높이로 자라고 전체적으로

보송보송한 솜털이 뒤덮고 있다.

꽃은 대체로 분홍빛을 띠지만

청보라색과 붉은 자주색,

흰색 등 다양하며,

한 뿌리에서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기도 한다.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할미꽃의 전설

 

할미꽃 이름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무척

슬픈 이야기가 전해온다.

옛날 두메산골에서 

두 손녀를 키우며 살아가는

할머니가 있었는데, 

 

 큰 손녀는 예쁘나

성질이 못되고 고약했으며

작은 손녀는

인물이 변변치 않았으나

마음이 비단결 같이 곱고

정도 많았다.

때가 되어 큰 손녀는

이웃 마을의 부잣집으로,

작은 손녀는

산 너머 가난한 농사꾼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서 늙고

병이 든 할머니가

큰 손녀를 찾아갔으나

얼마 못 가서

쫓겨나고 말았다.

하는 수 없이

산 너머 사는 작은 손녀를

찾아 나서게 되었는데,

산마루까지 죽을힘을

다해 올랐으나

병 든 몸에 추위와

허기를 견디지 못하고

작은 손녀의 집을

빤히 내려다보다가

그만 죽고 말았다.

소식을 듣고 달려온

작은 손녀가

그 자리에 할머니를

고이 묻어드렸는데,

이듬해 봄부터

무덤가에 허리가 굽은

이름 모를 꽃이 피어났다.

사람들은 그 꽃이

할머니의 넋이라 여겨

할미꽃이라 불렀다는

것이다.

동강할미꽃 흰색과 연분홍색 꽃

 

 

전래동요 '할미꽃'

우리의 정서를 잘 보여주는

소박한 노랫말을 지녔다.

 

‘뒷동산의 할미꽃 / 호호백발 할미꽃

/ 젊어서도 할미꽃 / 늙어서도 할미꽃 / ……’

 

할미꽃도 그렇지만

동강할미꽃을

가만히 보고 있자면 

눈물이 날 정도로 아름답고

순수한 그 자태가

속세에 찌든 마음까지

두근두근 설레게 한다.

그런데 어이해서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할미꽃의 전해져 오는

슬픈 전설과는 달리

사실은 흰 털로 덮인 

꽃대가 구부러져 있고

꽃이 진 후의 암술이

부풀어 오른 모습이

백발의 노인을

닮았다고 해서

할미꽃이라 부른다.

한방에서는

할미꽃 뿌리를

백두옹(白頭翁)이라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부채꼴로 피어난 동강할미꽃

 

우리나라엔

노랑할미꽃, 분홍할미꽃,

가는 잎할미꽃

10여 종이 자생하며

모두 뿌리의 독성이 강하다.

옛날에 봄부터 가을까지

할미꽃의 뿌리를 캐서

생으로나 삶은 물을

재래식 화장실에 뿌려

벌레를 죽이는 살충제로

썼다고도 한다.

 

 

 

 

 

사실 동강에

기대 사는 이들은

이 꽃은 그냥

'할미꽃'이라 불러왔다.

그러던 것이

'동강할미꽃'이라는

근사한 이름을 얻게 된

이야기는 이렇다.

 

1998년 봄,

식물사진가 김정명 씨가

동강을 거슬러 오르며

생태사진을 찍다가

이 꽃을 발견하고 이듬해

자신의 사진으로 구성한

꽃달력을 통해 처음

세상에 알렸다.

이를 보고 연구를 거듭한

한국식물연구원

이영노 박사에 의해

할미꽃과는 달리 

동강지역에서만 발견되는

한국특산식물임이 밝혀졌고,

꽃이 발견된 지역명인

'동강'을 붙여 세계 학계에

공식 발표하기에 이른 것.

그 때문에 학명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et T.C. Lee)

서식지인 동강이 표시되는

아주 귀하고 특별한

꽃이 되었다.

강원도 정선 동강 생태공원

 

 

 

 

그즈음 동강댐 건설을 

추진 중이던 정부의 정책을

완강하게 반대하며

동강 살리기에 나선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에게

큰 힘을 보태준 것이

동강할미꽃이다.

한국특산물인 동강할미꽃을

내세운 저지세력에 의해

동강댐 건설계획은

결국 2000년 6월

백지화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많은 이들이

생태와 자연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보전과 보호를 위한

노력들이 들불처럼

일어난 게 사실이다.

수장될 뻔한 수많은 

동강변의 식물과

석회암동굴이,

더 정확하게는

우리 모두가

동강할미꽃에게

큰 빚을 진 셈이다.

 

그렇게 위기를

모면하고 살아남은

동강할미꽃이지만

그 후의 시간들이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교통이 좋아지고

고성능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동호인들이 떼로 찾아와

동강할미꽃

서식지를 드나들며

훼손이 심해졌고,

일부 몰지각한 이들은

사진을 찍느라

꽃의 수분공급과

생존에 필수적인

묵은 줄기와 이파리들을

다 제거해버리거나

사진을 찍은 후

다른 사람이 찍지 못하게

아예 꽃을 꺾어버리는

만행까지 저지르며

동강할미꽃을

멸종위기종으로

몰고 갔다.

이뿐만이 아니다.

자연재해도 한몫을 했다.

2002년 8월과 이듬해인

2003년 9월 연이어 들이닥친

초대형 태풍 ‘루사’

‘매미’ 때문이다.

아찔했던 당시

상황을 들려주는

귤암리 마을

박재열 이장.

 

" 그때 동강이 큰 피해를 입었죠.

마을 앞 동강의 수위가 

기록적으로 높아졌는데,

이곳 뼝대에 뿌리내리고 살던

동강할미꽃 대부분이 뿌리째

뽑히며 쓸려 내려가 개체수가

눈에 띄게 줄고 말았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강원도에서도 

동강할미꽃을 비롯한

동강 생태계 보전을 위해

힘을 보태고 나섰다.

2~3년마다 한 번씩 동강에

자연휴식년제를

선포한 것이다.

동강에 기대 살아가는

동식물들이 꽃을 피우고

씨를 맺으며,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를 수 있도록

6월 15일까지 계곡 출입을

통제하는 게 그 내용이다.

당연히 이때는

래프팅도 금지다.

많은 위기를 이겨내고

우리 곁에 남은 

동강할미꽃 바위틈에서

싹을 틔워 

푸른 동강에 얼굴을 씻으며

꼿꼿하게 살아가는

이 아름다운 꽃이 

꿋꿋하게 우리 곁을

지킬 수 있도록

사랑하고 돌보며

본존을 위한 노력에

힘을 보태야 하는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의 몫이다.

 
반응형